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는데 가장 큰 목적은 아마 구글애드센스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왜냐하면 취미생활이나 홍보가 목적이였다면 현재 점유율이 가장 높고 쓰기 편한 네이버라는 강력한 블로그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접근성 즉 초대장없이는 가입조차 불가능한 진입장벽이 높은 티스토리를 운영하는 목적이 애드센스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승인 받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민키의 하루를 시작하는 명언들
『해보지 않고는 당신이 무엇을 해낼 수 있는지 알 수가 없다.』
『게으름은 피곤하기 전에 쉬는 습관일 뿐』
『미리 숙고하면 힘든 일도 그저 실행에 옮기는 순간 쉬워진다.』
『열정은 기회를 발견하고 에너지는 그것을 활용한다.』
●공지사항
※이 글의 저작권은 [메롱하는원숭이 민키]에게 있습니다.
※무단복제 및 도용을 금지합니다.
※일부사진는 퍼온 것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구글애드센스 한번에 승인받는 방법
아마 대부분이 2차승인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할 것이다. 2차3차4차....9차까지 가시는 분들도 있었다. 그리고 떨어지는 분들 중에서는 블로그 운영기간이 꽤 긴 분들도 있었다. 떨어지는 대부분은 아마 [콘텐츠 불충분]일 것이다.
처음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들은 애드센스 신청 시 포스팅 수가 부족해서 그려러니 할 수 있지만 운영기간이 꽤 되시는 분들은 포스팅 수가 30개 50개 100개가 넘어가시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런 분 조차 [콘텐츠 불충분]이라고 뜬다. 왜 그런것 일까?
필자는 15년 10월경 블로그를 개설하여 1차부터 2차까지 다이렉트로 승인을 받았다. 기간은 얼마나 걸렸나고 물으신다면 1주일정도 걸렸다. 그럼 그 기간동안 포스팅한 수는 과연 얼마정도 될까? 10개? 20개? 다 틀렸다. 단 6개정도만 글을 포스팅 하였다.
못믿으실 분들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필자는 2차승인을 단 한번에 받았다. 참 이상하지 않은가? 누구는 글이 30개 50개 되는데도 승인을 받지 못하는 분이 있는가 하면 누구는 5개만에 바로 승인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말이다. 비밀은 바로 포스팅 수가 아니라 바로 양질의 글을 썻느냐 안썻느냐의 차이 일것이다.
구글애드센스측에서 원하는 양질의 글이란 과연 무엇을 뜻할까?
과연 양질의 글은 과연 무엇일까? 필자도 구글애드센스 승인을 받기 전 많은 정보를 찾아보았다. 정보를 찾아 보던 중 대부분 한번에 통과 혹은 2번에 통과하신 분들은 대부분이 말하는 것이 하나 있었다. 그것은 포스팅 수가 아닌 글자수 였다.
한번에 통과하기 위해서는 1000자 이상의 글을 써라
필자는 한번만에 통과하기 위해서 확실한 전략을 구성하였다. 구글애드센스에서 원하는 양질의 글을 쓰는 것이다. 양질의 글이란 이미지보단 1000자 이상의 글을 쓰는 것이였다. 또한 일상적인 글보다는 전문적인 내용이나 정보성이 있는 글을 작성하였으며 완전한 문장으로 글을 마무리 했다.
구글애드센스 한번에 승인받기
1. 이미지보단 글위주로
2. 글자수는 최소 1000자이상으로
3. 일상적인 글보단 정보성이 있는 글을 쓸것.
4. 글마루리는 항상 다/요 처럼 확실하게 끝맺음할것
5. 위의 내용을 최소 3일동안 1일2포스팅 할것
위의 방법대로 필자는 하였다. 아마 처음 글을 쓰는 분들에게는 대단히 어려운 작업이 아닐까 싶다. 사실 처음 글을 쓸때는 정말 힘이 들었다. 어떻게 1000자이상의 글을 쓸지 말이다. 그렇지만 하다보면 되고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야만 하는 작업이다. 만약에 지금까지 애드센스 승인을 받지 않은 분들이라면 이방법을 그대로 따라해보길 바란다.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이상 끝.
이전글
티스토리 입문자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이용해 사이트 등록하기
'블로그운영 > ▶구글 애드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콘텐츠 내 자동삽입광고 본문중간에 넣는방법 (0) | 2017.08.18 |
---|---|
구글 애드센스 무효클릭방지프로그램 설치하기 (0) | 2017.08.15 |
티스토리 본문 중간에 구글애드센스 광고 삽입하기 (0) | 2017.07.30 |
티스토리 Fastboot스킨 초보자도 쉽게 블로그메인화면 구글애드센스광고 넣기 (0) | 2017.07.30 |
티스토리 구글애드센스 광고 만들기 (1) | 2017.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