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식당이나 그에 준하는 곳에서 일을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는 것이 보건증이다. 그래서 근처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곤 하는데 보건증은 당일 날 바로 주지 않고 며칠 기다린 다음에 다시 보건소에서 받아야 한다.
그런데 사실상 이렇게 하는 것은 번거러운 작업이기도 하고 시간적으로 여유가 되지 않는 분들도 많이 계실 것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집에서 쉽게 보건증을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한다.
민키의 하루를 시작하는 명언들
『해보지 않고는 당신이 무엇을 해낼 수 있는지 알 수가 없다.』
『게으름은 피곤하기 전에 쉬는 습관일 뿐』
『미리 숙고하면 힘든 일도 그저 실행에 옮기는 순간 쉬워진다.』
『열정은 기회를 발견하고 에너지는 그것을 활용한다.』
●공지사항
※이 글의 저작권은 [메롱하는원숭이 민키]에게 있습니다.
※무단복제 및 도용을 금지합니다.
※일부사진는 퍼온 것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보건소 가지 않고 집에서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받아보자.
세상이 많이 좋아지다 보니 인터넷으로 발급 받을 수 있어졌다. 필자는 최근에 보건증이 필요하여 보건소에 들렀다가 이런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 이 방법은 다시 가야하는 번거러움도 없을 뿐만 아니라 비용도 무료이기 때문에 편리한 거 같다.
인터넷으로 발급 받는 방법
우선 검색창에 [공공보건포털]이라고 검색을 한 후, 사이트를 클릭한다.
그리고 나면 아래와 같은 사이트가 나오는데 여기서 빨간색 박스 안 [자주 찾는 메뉴] - [재증명 발급받기]항목을 클릭한다.
그렇게 되면 창이 하나 뜰 것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여러가지 진단서, 결과서, 증명서 등을 보건기관 방문없이 집에서 간편히 발급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반드시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며, 공유프린터에서는 보안이 취약하여 출력이 제한된다고 하니 집에서만 뽑도록 하자.
이제 어떻게 발급해야 하는지 절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아까 사이트에 조금 스크롤 해서 내려보면 아래 창이 뜬다.
[보건기관 찾기],[이름/주민등록번호]를 넣어준다.
여기서 현재 자신이 검사를 받았던 보건기관을 찾아야 하는데 이유는 혹시라도 인터넷으로 발급이 불가능한 곳이 있기 때문에 검색을 해보는 것이다.
필자의 경우, 필자가 간 보건소 명을 검색했더니 발급받을 수 있는 곳이라고 확인을 하였다.
이렇게 확인을 하고 [조회하기]를 클릭하면 현재 자신이 받고 싶은 종류 제증명이 무엇인지 선택하는 창이 나타나고 그 창을 선택하게 한 후, 필요 시 수수료 결제를 하면 집에서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다.
아래는 [비회원]과 [회원] 이용시 이용절차는 나타낸 것이다.
이제는 보건증 가지기 위해서 굳이 시간 들여가며 교통비 써가며 갈 필요 없이 집에서 편안하게 발급 받아보도록 하자. 이상 끝.
'정보이야기 >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 공유기 비밀번호 설정하기 (0) | 2017.09.03 |
---|---|
깔끔하게 양말 개는 방법 (0) | 2017.09.02 |
집에서 잃어버린 스마트폰 찾기 (0) | 2017.08.29 |
지독한 입냄새 원인 및 해결 방법 (0) | 2017.08.27 |
6월부터 바뀐 도로교통정보 알아보기 (0) | 2017.08.25 |
댓글